[WPF] MVVM 패턴 이해하기 – 1
이번 글에서는 WPF에서 MVVM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MVVM 패턴은 Model, View, View Model 단어를 합쳐 만든 용어입니다. 이러한 패턴을 사용하는 이유는 UI와 로직을 명확하게 분리하고, 유지보수성과 코드 재사용성을 높이고 책임 영역을 …
WPF
이번 글에서는 WPF에서 MVVM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MVVM 패턴은 Model, View, View Model 단어를 합쳐 만든 용어입니다. 이러한 패턴을 사용하는 이유는 UI와 로직을 명확하게 분리하고, 유지보수성과 코드 재사용성을 높이고 책임 영역을 …
이번 글에서는 데이터 컨텍스트(DataContex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WPF에서 데이터 바인딩과 엮여서 많이 사용되는 개념 중 하나가 DataContext입니다. Data Binding을 하다보면 Binding 속성이 안되거나 제대로 동작이 되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그럴 때 보통 …
데이터 바인딩은 WPF 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로 간단히 말하면 UI와 데이터를 연결해주는 다리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데이터 바인딩을 하면 UI 속성과 데이터가 연결 되어 자동으로 동기화가 됩니다. 또한 방향도 설정할 …
이번 글에서는 레이아웃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WPF에서 컨트롤을 추가할 때, 디자인 화면에서 컨트롤을 끌어다가 추가하고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컨트롤들이 고정된 위치로 크기가 변경되지 않는다는 것을 일반적으로 볼 수 있습니다. WPF에서는 화면 크기를 …
이번 글에서는 XAML에 대해 가볍게 알아보겠습니다. XAML 네임스페이스 기본적으로 프로젝트를 생성하게 되면 아래와 같이 xmlns라고 써져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xmlns 특성은 C#에서 using 키워드 같이 XAML에서 네임스페이스의 사용을 선언합니다. …
개요 이번 글에서는 WPF에서 탐색(Navigation)은 페이지(Page) 기반 UI 에서 화면 전환을 간편하게 하는 기능입니다.웹 브라우저의 화면과 비슷하며, 화면은 페이지에 표시하며 이 페이지들을 단일 프레임 컨트롤 내부에 표시됩니다. 아래 표는 WPF …
안녕하세요. 이번에 회사에서 신규 개발 프로젝트를 맡게되었는데 WPF로 개발하게 되었습니다.회사 선임에게 ‘WPF MVVM 일주일 만에 배우기’라는 책을 추천 받았고, 해당 내용을 블로그에 정리하기 위해 WPF 카테고리를 만들고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WPF는 …